본문 바로가기

생성형 AI (ChatGPT, Gemini, MS Copilot..)

chatgpt(open ai)와 MS/bing copilot의 차이점

GPT4를 사용하면서 느끼는 것인데, 최신기사나 뉴스를 가져오는 데 한계가 많이 보인다. RAG기능이라 해서 현재 학습된 정보외에 웹 브라우징을 통한 정보취득에 제한이 많이 있는 듯 하다. 이는 각 사이트별 로봇 크롤링에 제약을 두기 때문이다. 문제는 데이타나 정보를 자산 축적하고 있는 소유자들은 더더욱 접근제한을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 

 

그에 비하여 MS 의 bing은 상대적으로 최신정보 검색에 자유롭다. Bing의 검색엔진이 그역할을 해주기 때문이다.

 

실제 GPT에 물어봐도 아래와 같은 대답이 나온다.

 

Microsoft의 Copilot과 GPT(특히 여기서 사용되는 ChatGPT 버전)는 둘 다 AI 기술을 활용하지만, 그 목적과 사용 방식에 차이가 있습니다. 이 차이점은 주로 데이터 접근 방식과 통합된 서비스의 범위에서 나타납니다.

Microsoft Copilot

  • 통합 서비스: Microsoft Copilot은 Microsoft 365 생태계와 밀접하게 통합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Word, Excel, Outlook 등의 애플리케이션에서 직접 AI 기능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 데이터 접근: Copilot은 Microsoft의 클라우드 서비스와 데이터에 직접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고 있어, 사용자가 저장한 문서나 이메일 등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보다 맞춤화된 응답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 실시간 정보: 특정 Microsoft 서비스와의 통합을 통해 실시간 데이터나 최신 뉴스와 같은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을 수 있으나, 이는 Microsoft의 내부 API나 다른 데이터 소스와의 통합 여부에 따라 달라집니다.

GPT (ChatGPT)

  • 일반적인 데이터 기반: ChatGPT는 주로 사전에 학습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정보를 제공합니다. 학습 데이터는 특정 시점까지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실시간 데이터나 최신 뉴스를 직접적으로 반영하지 않습니다.
  • 웹 브라우징 기능: 최신 정보가 필요한 경우, ChatGPT는 웹 브라우징 기능을 사용하여 실시간으로 정보를 검색하고 가져올 수 있습니다. 이는 검색 엔진을 통해 공개적으로 접근 가능한 정보를 기반으로 합니다.
  • 다양성과 범용성: ChatGPT는 다양한 주제와 질문에 대응할 수 있으며, 특정 플랫폼이나 서비스에 국한되지 않고 넓은 범위의 정보 제공에 초점을 맞춥니다.

차이점 요약

  • 통합 서비스와 데이터 접근: Copilot은 Microsoft 생태계와의 깊은 통합을 통해 맞춤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반면, ChatGPT는 특정 플랫폼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정보와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실시간 정보와 최신 뉴스: Copilot의 실시간 정보 제공 능력은 Microsoft 서비스와의 통합 정도에 의존하는 반면, ChatGPT는 웹 브라우징을 통해 실시간 정보를 제공하려고 시도합니다.

실제 차이점을 비교해 보면, 

chatGPT는 임의 데이타로 그래프를 그리라는 지시에는 충족한다. 스스로 fictional한 데이타라고 말하고, python 코드를 스스로 만들어서 그래프를 만든다. 

 

추가 질문을 하면 "fictional 데이타 말고 실제 금 데이타를 웹서칭 가능한 사이트에서 찾아서 그려줘"

답변은 데이타 접근이 어렵다는 것이다.

GoldPrice.org provides a comprehensive view of gold price history, offering charts and data for various time frames, including the last five years​ (Gold Price)​​ (Gold Price)​. Unfortunately, without direct access to the raw data through these websites during this interaction, I'm unable to generate a live graph for you.

 

반면, MS Bing의 경우 답변은 

 

설명력은 부족하나 다양한 정보 사이트를 추천하고 답을 한다.  그러나 그래프를 그리진 못한다.

추가 질문을 해도 답변이 똑같다. (prompting이라는 게 적용되지 않는 듯 하다)

Bing의 gpt4를 사용하면 그래프를 그리긴 하지만 open ai와 마찬가지로 정확한 데이타를 가져와서 그리진 못한다. 오히려 기존(gpt3.5) 답변이 더 낫다.

 

결론적으로 사용 목적에 맞게 2개의 사이트를 오가면서 Chatting을 하는 게 필요하다. 아직까지 손이 많이 가긴 하나...

금 시세를 알 수 있는 사이트를 찾아서 데이타를 다운 받아 GPT4에 그대로 올려서 그래프 그려달라고 한다.

그 뒤에 그래프에 대한 추가 질문을 하면 있는 데이터내에서 대답을 잘 한다. --예를 들어 저점, 전고점, 평균, 이동평균 그려줘 등등

반응형